2025년 정부 지원제도 총정리|취업·훈련·청년저축·월세공제·전세대출까지
정부는 국민의 취업, 주거, 자산 형성, 직업 교육을 돕기 위해 다양한 맞춤형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래에 지금 바로 신청 가능한 주요 제도 5가지를 정리했습니다.
✅ 1. 국민취업지원제도
대상: 만 15세 이상 ~ 69세 이하 구직자 중 저소득층, 청년, 경력단절자 등
지원내용: 직업상담, 훈련 연계, 일경험 프로그램 + 구직촉진수당 최대 월 50만 원(6개월간)
신청방법: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신청링크: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워크넷)
✅ 2. 국민내일배움카드
대상: 구직자, 재직자, 자영업자 등 직업훈련을 원하는 전 국민
지원내용: 훈련비 최대 300~500만 원, 일부 과정 훈련장려금 추가 지급
신청방법: 워크넷 또는 고용센터를 통한 신청
신청링크: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워크넷)
✅ 3. 청년도약계좌
대상: 만 19세~34세 이하 청년 중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
혜택: 매달 70만 원 한도 납입 시 정부 기여금 + 이자소득 비과세 + 장기적 자산 형성 가능
신청방법: 협약은행 앱을 통한 비대면 신청
신청링크: 청년도약계좌 신청 (서민금융진흥원)
✅ 4. 월세 소득공제 신청
대상: 무주택 세대주 또는 배우자 포함 무주택자
혜택: 연 750만 원 한도 내에서 월세의 10~12% 세액공제 (최대 90만 원 환급)
신청방법: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신청
신청링크: 홈택스 월세 소득공제 신청
✅ 5. 버팀목전세자금대출
대상: 무주택 근로자 및 청년층
지원내용: 보증금의 최대 70%까지 연 1.2~2.4% 저금리 전세자금 대출
신청방법: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우리, 농협, 국민 등) 또는 주거지원포털에서 신청
신청링크: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신청 (국토교통부)
📌 정리 요약
- 국민취업지원제도: 생계 지원 + 맞춤형 취업서비스
- 국민내일배움카드: 직업 훈련비 최대 500만 원 지원
- 청년도약계좌: 청년 자산형성용 적금 + 정부 지원
- 월세 소득공제: 연 최대 90만 원 세액공제
-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저금리 전세대출로 주거 안정 지원
각 제도는 연령, 소득, 주거 형태, 고용 상태에 따라 신청 조건이 다르므로, 반드시 본인 상황에 맞는 제도를 확인한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