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하는법|2025 입문자 10분 스타트 가이드

비트코인 하는법|2025 입문자 10분 스타트 가이드

이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학습용 요약입니다. 사실과 제도는 수시로 바뀔 수 있으므로 아래 “근거/출처”를 함께 확인하세요.

① 10분 스타트: 순서만 따라 하세요

  1. 앱 설치 — 국내 신고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를 설치합니다.
  2. 실명확인(KYC) — 신분증/휴대폰 인증 후 실명계좌를 연동합니다.
  3. 보안 설정 — 2단계 인증(OTP)·출금주소 화이트리스트를 켭니다.
  4. 원화 소액 입금 — 첫 입금은 소액으로 테스트합니다.
  5. 첫 매수 — 초보자는 현물만, 주문은 지정가를 권장합니다.
  6. 보관 — 단·소액은 거래소, 장기·고액은 하드웨어 지갑 병행 보관.
  7. 기록 — 입금·매수·출금·수수료를 표로 정리하여 보관합니다.

② 국내 거래소 선택 가이드(실명계좌 은행)

거래소원화 입출금 은행(실명계좌)참고
업비트(Upbit) 케이뱅크 공식 안내
빗썸(Bithumb) KB국민은행 은행 전환 공지(‘25.03.24 시행)
코인원(Coinone) 카카오뱅크 재계약 보도
코빗(Korbit) 신한은행 원화 입출금 안내

국내 거래소는 법에 따라 고객예치금 분리·가상자산 실물보유 등 이용자 보호 의무가 적용됩니다이용자보호법.

③ 초보자 안전 원칙(핵심 6가지)

  • 분할매수(DCA) — 정해진 금액으로 주기적 매수(타이밍 집착 금지).
  • 비중 관리 — 총 자산의 일부만, 잃어도 생활 지장 없는 범위.
  • 현물만 — 선물/마진/레버리지는 초보자 금지.
  • 단순화 — 처음엔 BTC 중심. 알트 코인 다변화는 충분히 익숙해진 후.
  • 보안 — OTP·화이트리스트·피싱 차단, 원격제어앱 요구 절대 금지.
  • 출금 테스트 — 본액 이동 전 소액으로 주소 확인.

④ 세금·신고 한 줄 핵심(2025)

  • 과세 — 가상자산 과세는 현재 2027년 1월 1일 이후분부터 예정입니다(유예). 제도는 바뀔 수 있으니 국세청 공지를 수시 확인하세요.
  • 해외계좌 신고 — 해외 거래소/지갑 포함 월말 기준 5억 원 초과 시 매년 6월 해외금융계좌 신고 의무가 있습니다.

⑤ 자주 묻는 질문(FAQ)

Q1. 해외 거래소로 시작해도 되나요?
A. 가능하나 국내 보호장치(예치금 분리·실명계좌 등)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초보자는 국내 거래소부터 권장합니다.

Q2. 하드웨어 지갑은 꼭 필요한가요?
A. 장기·고액 보유 시 권장됩니다. 초기엔 거래소 보관 + 소액 출금 테스트로 익히고, 이후 분산 보관을 고려하세요.

Q3. 첫 주문은 시장가가 편하지 않나요?
A. 즉시 체결은 편하지만 호가·수수료·슬리피지에 민감합니다. 입문자는 지정가로 체결 가격을 통제하는 연습이 좋습니다.

⑥ 체크리스트(복사해두기)

  • 거래소 앱 설치 → 실명계좌 연동 → OTP/화이트리스트 설정
  • 원화 소액 입금 → 지정가로 첫 매수 → 소액 출금 테스트
  • 거래내역 표로 기록(날짜·수량·수수료·주소·비고)
  • 장기·고액은 하드웨어 지갑 분산
  • 금융위/국세청 공지 주간 점검 루틴 만들기

근거/출처(공식·공공)

※ 본문은 2025-08-25 기준 확인된 공개자료를 요약했습니다. 법·정책·수수료·제휴은행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