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 가점 계산기 사용법 총정리|무주택기간·부양가족 입력 꿀팁

청약 가점 계산기 사용법 총정리|무주택기간·부양가족 입력 꿀팁

내 집 마련을 위한 청약, 특히 공공분양 아파트를 신청하려면 청약 가점을 반드시 계산해 봐야 합니다. 청약 가점은 당첨 확률을 높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수단입니다.

하지만 가점 계산이 어렵고 헷갈린다는 분들도 많죠. 무주택기간은 언제부터인지, 부양가족 수는 어떻게 계산하는지, 청약통장 가입 기간은 어떻게 따지는지 등 애매한 부분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청약 가점 계산기 사용하는 방법부터 각 항목별 입력 기준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청약 가점 계산 항목은 총 3가지

  • 무주택기간: 최대 32점
  • 부양가족 수: 최대 35점
  • 청약통장 가입기간: 최대 17점

84점 만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당첨 가능성이 올라갑니다.

① 무주택기간 입력 기준

본인 기준으로 최초 무주택 상태가 시작된 날부터 계산됩니다. 주민등록등본상 소유 주택이 없어야 하며, 최대 15년 이상 시 32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주택을 소유했던 기록이 과거에라도 있으면 그 이후부터 무주택기간을 다시 산정해야 합니다.

② 부양가족 수 계산법

같은 세대 구성원 중 무주택자이면서, 부양의무가 인정되는 가족만 포함됩니다.

  • 직계존속: 부모, 조부모 (배우자의 부모 포함)
  • 직계비속: 자녀, 손자녀
  • 배우자 포함

단, 전입신고가 동일한 주소에 되어 있어야 부양가족으로 인정됩니다. 최대 6명 이상이면 35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③ 청약통장 가입기간 기준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종합저축 등 가입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 가입 15년 이상: 17점
  • 가입 1년 이상 ~ 14년 미만: 1~16점

단, 매월 일정금액 이상을 꾸준히 납입한 이력이 있어야 하며, 가입만 해놓고 납입을 하지 않은 경우 인정 점수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실시간 가점 계산기 바로가기

국토교통부 마이홈 포털에서는 공식 가점 계산기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청약 가점 계산기 바로가기 (공식)

무주택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가입기간을 입력하면 자동 계산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1. 과거에 주택을 소유했었다면?

해당 주택을 처분한 날 이후부터 무주택기간을 다시 계산합니다.

2. 부모님과 주소가 다르면 부양가족으로 인정되나요?

아니요. 등본상 주소가 같아야 부양가족으로 인정됩니다.

3. 통장 가입만 오래됐고, 납입은 안 했는데?

실제 납입 횟수가 기준이 됩니다. 가입일만으로 점수를 모두 받진 못합니다.

청약 가점은 정확한 기준에 따라 계산해야 하며, 허위 입력 또는 오기재 시 당첨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청약 신청 전, 반드시 공식 계산기를 통해 점수를 확인하고 관련 서류(등본, 납입내역 등)도 미리 준비해 두세요.

최종 업데이트: 2025년 8월 14일

이 글은 2025년 기준 국토교통부 청약 제도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