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게이츠 백신”이란?|말라리아 백신(WHO 권고) 사실 확인 가이드

“빌게이츠 백신”이란? (2025 기준 사실 확인)

결론부터: “빌게이츠 백신”이라는 공식 이름의 백신은 없습니다. 온라인에서 흔히 이렇게 부르는 것은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이 자금·파트너십으로 보급을 지원한 말라리아 백신(WHO 권고) 등을 뭉뚱그려 지칭하는 표현입니다.

요약
  • 예방 대상 주로 열대열 말라리아(Plasmodium falciparum) — 아프리카 등 고전파 지역의 영유아를 위한 공중보건용 백신
  • WHO 권고 백신 RTS,S/AS01(모스키릭스), R21/Matrix-M (2023년 WHO 권고 업데이트·사전적격성 포함)
  • 도입 현황 WHO: 2025년 4월 기준 19개국 도입 진행 / Gavi: 2025년 8월 기준 21개국 도입 지원
WHO Q&A(말라리아 백신) WHO R21 권고

무슨 병을 막나요?

두 백신(① RTS,S/AS01 ② R21/Matrix-M)은 열대열 말라리아(P. falciparum)로 인한 소아(주로 5~36개월)의 임상 말라리아·중증·사망 위험을 낮추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WHO는 말라리아 유행지역의 영유아 접종을 권고합니다. (여행자용 일반 백신과 다름)

  • RTS,S/AS01: WHO 권고(Q&A 업데이트 지속). 다회 접종·추가접종 시 예방효과 연장. 근거: WHO Q&A
  • R21/Matrix-M: 2023년 WHO 권고, 2023년 12월 WHO 사전적격성(PQ) 획득. 권고 · 사전적격성

누가 맞나요? (권고 대상)

한국과의 관련성

한국은 P. falciparum 고전파 지역이 아닙니다. 국내에서 간헐적으로 보고되는 말라리아는 주로 P. vivax(삼일열)입니다. 따라서 위 백신들은 국내 일반 인구 대상이 아니라, 아프리카 등 유행지역의 영유아 보호를 위한 공중보건 도구입니다. (여행 목적의 경우 의사 상담 후 예방약을 고려) CDC 한국 여행자 페이지(말라리아 위험 구역 안내)

효과와 안전성 — 무엇이 알려져 있나요?

  • 두 백신은 도입 국가에서 임상 말라리아 발생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초기 3회 접종 12개월 내 임상 말라리아 >50% 감소 보고; 추가 접종 시 효과 연장) Gavi 지식자료(2025-04-25)
  • WHO는 말라리아 유행지역 소아에 대한 프로그램적 사용을 권고하며, 안전성·효과성 평가를 바탕으로 정책을 업데이트합니다. WHO 권고 페이지
도입 현황(요약)
  • WHO: 2025년 4월 기준 19개국이 국가 일정에 도입 중/도입 시작 근거
  • Gavi: 2025년 8월 13일 기준 21개국 도입 지원 근거

왜 “빌게이츠 백신”이라고 부르나요?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은 Gavi(세계백신면역연합)의 창립 파트너이자 주요 기부처로, 저소득국 아동 백신 보급을 장기 지원해 왔습니다. 2025년 6월에는 Gavi에 16억 달러 추가 약정을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온라인에서 게이츠 재단이 지원한 여러 백신을 통칭해 “빌게이츠 백신”이라 부르는 일이 생깁니다. 재단 보도자료(2025-06-24) · Gavi 기부자 프로필

오해 바로잡기

빠른 링크

WHO Q&A (RTS,S & R21) WHO R21 사전적격성 Gavi 말라리아 백신 지원 현황

※ 본 페이지는 2025년 8월 기준 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요약했습니다. 국가·기관 정책은 업데이트될 수 있으니, 상세 접종대상·간격·공급 정보는 WHO·Gavi·국가 보건당국의 최신 공지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