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소프트웨어 긴급 보안 패치’ 팝업: 진짜/가짜 구별과 삭제·차단 방법

사실관계가 불명확한 경우가 있어요. 아래 절차로 판별 → 차단/삭제 → 점검을 순서대로 진행하세요. 공식 안내는 반드시 링크로 확인하세요.

공식 링크
• KISA 홈페이지: https://www.kisa.or.kr
• 보호나라 보안 공지: https://www.boho.or.kr
• 보안상담·신고 118: 보호나라 문의 안내
• 제미니한테 물어보기: https://gemini.google.com/app

1) 1분 판별: 진짜? 가짜?

  • 파일 서명 확인: 팝업 프로세스(작업 관리자) 우클릭 → 파일 위치 열기 → 파일 속성 ▸ 디지털 서명에서 발행자 확인.
  • 설치 경로: Program Files/Program Files (x86) 등 정상 경로면 가능성↑, AppData\Temp 같은 임시폴더면 의심.
  • 출처: 은행·관공서 이용 직후 설치된 보안모듈인지(정상일 수 있음), 또는 웹 서핑 중 뜬 배너/팝업 유도인지 확인.

2) 가짜(광고/악성) 의심 시: 이렇게 차단·삭제

  1. 브라우저 알림 차단
    설정 ▸ 개인정보/보안 ▸ 사이트 설정 ▸ 알림 ▸ ‘허용’ 목록에서 모르는 사이트 차단/삭제.
    확장 프로그램에서 모르는 항목은 사용 중지 → 삭제.
  2. 시작프로그램/예약작업 비활성화
    작업 관리자 ▸ 시작프로그램에서 수상한 항목 사용 안 함.
    작업 스케줄러에서 정체불명 update/patch 작업 사용 안 함/삭제.
  3. 프로그램 제거
    앱 및 기능(또는 appwiz.cpl) ▸ 최근 설치된 의심 Update/Helper/Service 제거.
    은행·관공서용 보안모듈은 삭제 전 해당 사이트 공지 확인.
  4. 악성코드 검사
    Windows 보안 ▸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 전체 검사 (필요 시 오프라인 검사) 실행 후 재부팅.

3) 정상 공지일 가능성: 이렇게 처리

  • 반드시 공식 사이트(은행/관공서/운용사·KISA·보호나라)에서 직접 다운로드/업데이트.
  • 설치 후에도 계속 알림이 반복되면 해당 모듈의 자동 실행 설정을 해제하거나 최신 버전으로 재설치.

4) 자주 하는 질문(FAQ)

Q1. 설치한 적 없는데 뜨는데요?

가짜 팝업이거나, 과거 금융/관공서 이용 시 설치된 보안모듈이 업데이트를 요구할 수 있어요. 위 1분 판별2) 차단·삭제를 먼저 진행하세요.

Q2. 완전히 안 뜨게 할 수 있나요?

브라우저 알림 차단, 확장 제거, 시작프로그램/예약작업 비활성화, 의심 프로그램 제거, 악성코드 검사를 순서대로 하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Q3. 확실히 구분이 안 됩니다. 어디에 문의하죠?

118(보호나라)로 원격 점검을 요청하세요. 공식 안내는 위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고객센터/118 문의용 템플릿(복붙)

6) 반복 방지 팁

  • 업데이트는 항상 공식 사이트에서만.
  • 정체불명 알림 허용 금지, 확장 설치 시 출처 확인.
  • 주기적으로 시작프로그램/예약작업 목록 점검.